청약을 준비하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‘소득 기준’과 ‘월평균 소득 계산법’입니다. 특히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소득 인정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, 본인의 상황에 맞는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청약 시 확인해야 할 소득 기준과 월평균 소득 계산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.
📌 가구원수 산정 기준부터 확인하세요!
- 기본적으로 세대구성원 기준으로 산정
- 임신 중 태아도 가구원수에 포함
- 직계존속(부모, 시부모)은 1년 이상 동일 주소지에 등재된 경우 포함
💡 청약 당첨 여부는 '세대 기준'으로 이루어지므로 세대 구성 확인이 먼저입니다!
🏘️ 1. 민영주택 월평균 소득 계산법
민영주택은 신청자와 만 19세 이상 세대원의 ‘근로·사업 소득’만 포함하며, 임대소득·배당소득 등은 제외됩니다.
✅ 상시근로자 (일반 직장인)
✅ 사업자
- 월평균 소득 = 전년도 사업소득 ÷ 사업자등록기간(월 수)
✅ 근로자 + 사업자 겸업
- 각각의 소득을 따로 계산해 합산
- 단, 사업소득이 손실이면 근로소득만 반영
🏡 2. 국민주택 월평균 소득 계산법
국민주택은 근로·사업 소득은 물론 이자·배당·연금 등 재산소득과 기타소득까지 모두 포함됩니다.
단, 청년 특별공급(나눔형, 선택형)은 신청자 본인의 소득만 봅니다.
✅ 상시근로자
- 최근월 건강보험료 기준 보수월액 확인
- [국민건강보험공단] → 민원 → 직장보험료 조회 → 가장 최근 '월'
✅ 그 외 근로소득 (일용·자활·공공일자리 등)
- 연소득 ÷ 12
- 각 기관(국세청, 복지부 등)에서 확인
✅ 사업자
- 전년도 사업소득 ÷ 사업자등록기간(월 수)
✅ 재산 소득
- 이자소득 + 배당소득 + 연금소득 등
→ 전년도 소득금액 ÷ 12
✅ 기타 소득
-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·연금 등을 월 단위로 환산
- 일시금은 ‘소득’이 아닌 ‘재산’으로 처리
💬 마무리 체크포인트
- 내 소득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분류
- 필요 서류는 미리 발급받아 확인
- 가구원수 기준은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
- 청년 특별공급은 ‘본인 소득만’ 확인
👉 청약은 서류 정확도와 소득 기준 충족 여부가 당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꼼꼼히 준비해서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!